푸른 물 한굽이 마을을 안고 흐르나니/ 시성 두보 푸른 물 한굽이 마을을 안고 흐르나니/ 시성(詩聖) 두보(杜甫) 중국에서 두보(杜甫)는 시성(詩聖), 이백은 시선(詩仙), 왕유는 시불(詩佛)이라 부른다. 그 중 이태백은 타고난 천재로 남성적인 시를 남겼다면, 두보는 후천적 노력가로 여성적인 시를 남겼다. 태어난 해는 당 현종이 즉위한 ..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23
적벽강의 노래/ 소동파의 적벽부 적벽강의 노래/ 소동파의 적벽부 고려와 요나라까지 알려진 천하의 명문장 적벽부(赤壁賦)는 지금부터 약 8백년 전 1082년, 소동파가 유배지인 호베이성(湖北省) 황저우(黃州)의 한천문(漢天門) 밖 장강(長江,양쯔 강) 암벽 아래 배를 띄워 적벽 아래 선유하면서 지은 것으로, 음력 7월에 지..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21
그윽한 대숲에 나홀로 앉아/ 시불(詩佛) / 왕유 시불(詩佛) 왕유(王維) 왕유(王維)는 과거에 장원 급제했으나 당 현종(玄宗)의 눈에 벗어나 제주(濟州)에 귀양살이를 한데다, 그를 후원해준 장구령이 간신 이임보에게 밀려 파면 당하는 것을 보고, 실의에 빠져 종남산 기슭 남곡천(藍谷川) 흐르는 곳에 망천장(輞川莊)이란 별장에 은거하..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14
四勿箴(사물잠) -程伊川(정이천)- 四勿箴(사물잠) -程伊川(정이천)- 視箴(시잠)-程伊川(정이천) 心兮本虛應物無迹(심혜본허응물무적) 操之有要視爲之則(조지유요시위지칙) 蔽交於前其中則遷(폐교어전기중칙천) 制之於外以安其內(제지어외이안기내) 克己復禮久而誠矣(극기복례구이성의) 【해】 마음이란 본시 비어있는 ..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14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 중국의 전통 문화 속에는 '태극'이라는 오래되고 현묘한 단어가 있다. (현재는 이 태극의 개념은 동이족 단군 고조선에서 중국으로 간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들도 있음) 우리나라 국기도 태극기지만, 중국 무술에는 태극권과 태극검이라는 것이 있고, 명승 고..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14
비파 타는 여인의 노래/ 백낙천 비파 타는 여인의 노래(琵琶行)/ 백낙천(白樂天) 백낙천(白樂天)의 시 '비파행(琵琶行)'을 읽으면,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을 읽는 느낌이 든다. 한 슬픈 여인의 인생이 시 속에 스며있다. 이 시는 당 헌종 때 백낙천이 가을에 친구를 배웅하러 양쯔강 분포강(湓浦江)이라는 곳에 갔다가, 비..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12
술잔 들고 달빛을 마주하니/이태백 술잔 들고 달빛을 마주하니/이태백(李太白) 동서고금 술을 마신 사람은 많지만, 이태백처럼 좋은 시를 남긴 사람은 없다. 사람들이 달을 소재로 빈번히 시를 썼지만, 청련거사(靑蓮居士) 이태백 이 사람처럼 달과 관련된 주옥같은 시 남긴 사람 없다. 이태백은 62세 때 채석강에서 뱃놀이 ..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10
굴원의 어부사(漁夫辭) 굴원의 어부사(漁夫辭) 동양에서 절개를 논하려면 반드시 알아야할 문장이 있다. 굴원의 어부사(漁夫辭)다. 그래 탁영(濯纓)이니, 창랑(滄浪)이니 하는 단어도 존중되었으니, 연산군 때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에 실어 무오사화의 피해를 입은 김일손 선생 호가 탁영(濯纓)이며, 1950년..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5.09
하늘의 뜻은 헤아리기 어렵다/ 홍자성의 <채근담> 하늘의 뜻은 헤아리기 어렵다/ 홍자성(洪自誠)의 채근담(菜根譚) 십대는 톨스토이의 <인생 독본>이란 책을 좋아했다. 그 속의 톨스토이의 인생관과 세네카, 아우렐리우스, 파스칼, 루소의 사상에 많은 감명을 받았다. 삼십대는 동양에도 이런 책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채근담(菜根譚)..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4.02
'무경칠서(武經七書)' /손자병법(孫子兵法). 오자병법 (吳子兵法). 손빈병법(孫臏兵法) 편 '무경칠서(武經七書)' 제1편 손자병법(孫子兵法). 오자병법 (吳子兵法). 손빈병법(孫臏兵法) 편 '손자병법(孫子兵法)'은 제갈량, 당태종, 이순신 장군이 탐독했고, 나폴레옹, 모택동, 독일 황제 빌헬름 2세, 일본 연합함대 사령관 도고 헤이하찌로가 애독했다. 1772년 프랑스 신부 아미오(P. Ami.. 동양고전 제4편 서문 201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