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소나무|

김현거사 2011. 1. 19. 11:11

스팸처리 최신목록 | 목록 | 윗글 | 아랫글

 
소나무|隨筆
김현거사 | 등급변경 | 조회 74 |추천 0 |2010.01.24. 12:32 http://cafe.daum.net/namgangmunoo/5gNC/287 

  올 정초는 눈이 한 자나 쌓여 꼼짝없이 갇혀 지냈다. 밖은 백설 만건곤한 설국이라, 백자 화분 속의 소나무 분재하고 놀수 밖에 없었다. 낙역재기중(樂亦在其中)이란 말이 있다.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베개하고 누웠으니 즐거움이 역시 그 안에 있다는 말이다. 사방 한 자 남짓되는 분재지만  정 붙이니, 그 속에 태산준령의  운치도 있거니와, 옛 선인들 풍류도 있다.

 

 우선 눈 쌓인 설경을 연출해본다. 접시에 하얀 눈을 담아와서, 푸른 잎새, 주름진 수피, 용틀임한 뿌리 위에 얹자, 갑자기 한 폭 송설도(松雪圖)가 눈 앞에 마주 선다. 눈 녹는 모습도 볼만하다. 눈은  물방울되어  천천히 녹아 떨어지면서 잎새 수피 뿌리 순서로 적신다. 푸른  솔에 흰눈 쌓인 모습이 한겨울 설경의  운치라면, 한방울 두방울 똑똑 물방울 떨어지면서  솔을 적시는 모습은 해동하는 이른 봄 운치고, 촉촉한 물끼가 나무의 주름과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 튀어나온 부분, 쑥 들어간 부분을 흠뻑 적시는 모습은 후두둑 소나기 지나간 여름의  운치다.  눈 녹은 물에 목욕한 나무는, 그 이상 싱그롭고 생명감 넘칠 수 없다. 뿌리 부근의 파란 이끼빛 살아난다. 이런 것들이 정말 놓치지않고 눈여겨 볼만한 것들이다.

 

 도연명은 <가을은 달이 볼만하니 달은 밝고 휘황함을 드높이고(秋月揚明輝), 겨울은 소나무가 볼만하니 산마루에 외로이 선 소나무가 빼어나다(冬嶺秀孤松)>고 하였다. 모름지기 겨울은 소나무의 멋을 가장 잘 음미해볼 철인 것이다. 기대승(奇大升)은  '깨진 솥에 술을 데워 혼자 마시고, 소나무 밑에 취해서 누우니 세상의 시비가 없네.'  라고, 여름에 소나무 밑에 누워서 세상사 잊은 마음을 노래했다. 길재(吉再)는  '오경에 지는 달 창 앞에 희고, 십리에 불어오는 솔바람 침상에 맑게 부네.' 달밤에 은거인의 침상에 불어오는 송뢰를 노래하였다. 홍우원(洪宇遠)은 '밤은 고요하고 산은 텅 비어 물소리 더 맑은데, 텅 빈 창가의 꿈은 성긴 소나무 사이 지나가는 빗소리 였어라.' 소나무 사이에 지나가는 빗소리를  읊었다.

 

 이렇게 시인묵객이 다투어 소나무를 읊은 이유는 무엇인가.원래 소나무를 의미하는 '솔'은 나무 중 우두머리를 뜻하는 '수리'에서 나왔다는 이야기도 있고, 소나무를 뜻하는 송(松)이 황제가 목(木) 중에 공(公)이라고 높인 데서 유래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소나무가 왜 이처럼 최상의 나무로 대접 받는가.

 우리 선조들이 가장 아껴온 소나무는 태백산 줄기를 타고 금강산에서 울진 봉화 청송을 거쳐 자라는 금강송(金剛松) 이다. 적송 중에서 유전형질이 우수하고 잘 자란 소나무를 금강송이라 부르는데, 특히 삼척 미로면 이태조 5대조 준경묘 주변의 황장목(黃腸木)과 경북 춘양의 춘양목(春陽木)이 가장 유명하다. 적송은 하늘을 향해 꼿꼿하게 자라면서 마디가 길고 껍질이 유난히 붉고, 결이 곱고 단단하고, 켠 뒤에도 굽거나 트지않고 잘 썩지도 않아, 예로부터 소나무 중 최고의 나무로 쳤다. 우리가 한번이라도 적송 아래 가서 그 허리를 껴안고 한 오분만 있어본다면, 적송의 수피에서 풍겨나오는 향기가 얼마나 짙은가를 대번에 알 수 있다. 이 향기로운 적송으로, 임금님의 관을 만들고, 궁궐을 짓고, 목조미륵반가사유상을 만들고, 남대문 대들보를 얹힌 사람들이 바로 한국 사람들이다. 

 

 세한도(歲寒圖)를 생각해본다. 추사가 제주도에서 그린 그림인데, 바닷가의 작은 초옥과 비스듬히 선 다섯 그루 소나무가 그려져 있다. 소나무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쓸쓸한 귀양살이 추사 자신의 모습을 느끼게 한다. '세한이 되어야 비로서 소나무 잣나무의 푸름을 안다.'는 발문은 아마 당시 추사 자신의 심정일 것이다. 송하관수도(松下觀水圖)를 생각해본다. 청풍 부사 윤제홍은, 고사(高士)가 소나무 아래 앉아서 흐르는 계류를 바라보는 그림과, 송하소향도(松下燒香圖)라 해서 소나무 아래서 향을 피우는 노인을 그렸다. 단원 김홍도는 송하선인취생도(松下仙人吹笙圖)란 그림을 그렸다. 소나무 아래 선인이 생황을 불고 있는모습이다. 생황의 소리는 어떤 것일까. 달빛 아래 용의 울음처럼 처절하다고 화제(畵題)에 써놓았다. 해남 윤두수의 송하관폭도(松下觀瀑圖)는 한 선비가 비스듬이 앉아 물끄러미 폭포를 바라보는 모습을 그렸다. 이인상의 송하관폭도는, 암반에 뿌리 내리고 용소를 향해 구부러진 노송 한 그루와 그 곁에서 폭포를 바라보며 단정히 앉아서 시상에 잠기는 선비를 그렸다. 김수철의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는 소나무 계곡에 모여 한가로히 담소를 나누는 선비 모습을 그렸고, 이인문은 송하한담도에 냇물이 시원하게 흘러가는 암벽과 다섯 그루 노송이 선 곳에 세 선비가 편안한 자세로 이야기하는 그림을 남겼다. 화가들마다 이처럼 다투어 소나무를 그렸다. 

 

 나는 소나무 분재를 가꾸면서, 내가 만난 우리나라 소나무들을 회상해본다. 푸른 파도 하얀 포말되어 부딪쳐오던 하조대 기암절벽 위 낙락장송, 달빛 속 청간정 골기와 위에 외로운 그림자 던지던 소나무, 화암사 계곡의 폭포 위 구부러진 멋진 소나무를 떠올려본다. 속리산 정이품소나무, 단종의 적거지 영월 청령포의 관음송(觀音松)도 생각해본다. 척박한 땅이나 바위 틈새에 굳건히 뿌리 내린 소나무의 생명력과, 굽어지고 옹이 박힐수록 더 고고한 소나무의 기품을 생각해본다.

 

  소나무는  시인묵객들 시의 소재였고,그림의 소재였다. 그 속에 물소리 바람소리가 있다. 풍류의 나무가 소나무고,  탈속의 나무가 소나무고, 세한삼우(歲寒三友) 중 첫째가 소나무다. 작은 소나무 분재 하나가 결코 작은 것이 아니다. 작은 것 속에 큰 것이 있다. 한방울의 비가 소나기를 알리고, 한알의 씨가 마침내는 꽃을 피운다. 나는 소나무를 오래된 휘귀한 골동품이나 탈속한 군자를 대하듯 대한다. 나는 소나무에서 도연명 기대승 길재 홍우원의 시를 읽고,추사 윤제홍 김홍도 이인상 김수철 이인문의 그림을 만난다. 선인들의 풍류를 배우고, 탈속을 배우고, 고고한 절개를 배운다. 이만하면 세상에 소나무보다 좋은 벗이 어디 있을 것인가. 귀중한 사귐은 여러 종류가 있을 것이나. 나는 이 소나무와 사귐을 늘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2010년 1월)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웅석 10.01.24. 17:54
김현거사님의 '소나무'를 읽으니, 졸작 '작다는 것'과 '귀성'의 마을 수호신 당산 소나무와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봉화 10.01.24. 20:34
겨울에 더욱 빛나는 푸르름 소나무안에 우주만물을 보고 느끼셨군요 분재 소나무 한그루에 인생의 희노애락을 마음대로 쥐락펴락 하시는 거사님 과연 풍류남아십니다 어느댁 도령이신가요 저는 진주기생 논개의 후손 봉화 소저이옵니다 봉화
 
 
일석 10.01.24. 22:53
조그만한 소나무 분재속에 세상의 모든 이치가 다 들어있네요. 거사라는 칭호는 아무나 붙이는 것이 아니라는 걸 다시금 깨닫게 되네요. <김한석>
 
 
천성산 10.01.25. 11:24
유유자적이 이 글 쓴 사람의 마음 안에 들어 있다 하겠네. 이건 글 솜씨 가지고 쓸 수있는 글이 아니구나 생각하면서 이렇게 머리에 담고 머리 무거워 방안에 베게 높이하고 누워 있을 수 밖에 없겠구나 생각을 했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월계 10.01.26. 15:01
집을 비우는 바람에 이 좋은 수필을 늦게 대합니다. 소나무에 대한 해박하고 재미있는 글, 감탄스럽습니다. 우리집에 있는 분재 한 그루에도 새가 울고 눈이 내리고 솔바람이 불고 솔향기 나고 사철이 갈아듭니다. 소나무 하나가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하는지 경탄스럽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월계.
 
 
초영 10.02.13. 01:48
(손계숙) 저도 이렇게 늦었군요. <명수필, 또한 대단한 수작입니다> 작은 소나무 한 그루가, 이렇게도 많은 말을 하고 있는것을 볼때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저도 무척 <소나무>를 좋아합니다. 선배님! ~~~
 
 
양동근 10.02.13. 15:04
예전에 산에 가면 소나무를 많이 접하였지만 예사롭게 지나친 것이 아쉽다네. 소나무를 가만히 들여다 보고 있으면 이렇게 무궁무진한 글이 쏟아져 나올 줄은 예전에 미처 몰랐네.....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해를 넘기며  (0) 2011.01.19
눈 내리는 아침  (0) 2011.01.19
손자놈들  (0) 2011.01.19
백조의 호수  (0) 2011.01.19
미소  (0) 2011.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