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시 소개 제1편/ 원효, 원광, 혜초, 대각, 진각, 보각, 원감 선시(禪詩) 소개 제1편 / 원효(元曉), 원광(圓光), 혜초(慧超), 대각(大覺), 진각(眞覺), 보각(普覺), 원감(圓鑑) 선시(禪詩)란 무엇인가? 출가 고승(高僧)들이 남긴 선미(禪味) 담긴 시를 말한다. 이 선시를 가장 정확히 표현한 분이 동국대 이종익(李鐘益) 교수다. 그는 '초목의 정기가 결집된 ..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8.09
아제아제 바라아제/ 현장스님의 <반야심경> 아제아제바라아제/ 현장(玄裝)스님의 반야심경(般若心經) 불교도가 아니라도 색즉시공(色不異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이란 반야심경 구절은 누구나 들어보았을 것이다. 거리의 시주승 독경, 혹은 초상집 독경, 또는 산사 예불에서 하는 스님 염불 90프로가 이 반야심경이다. 반야심경은 총..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8.07
북곽선생과 젊은 과부/ 박지원의 <열하일기> 북곽선생과 젊은 과부/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열하일기>는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 건룡황제의 칠순 잔치에 참석하는 조선 외교사절 대표인 그의 삼종형(三從兄) 박명원(朴明源)을 따라 청나라 다녀온 여행기이다. 열하는 ‘뜨거울 열(熱)’과 ‘물 하(河)’의 합성어..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8.04
달은 천강에 비치고/ 세종대왕의 <월인천강지곡> 달은 천강(千江)에 비치고 세종대왕의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446년에 소헌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세종대왕이 수양대군에게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주요 설법을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책이 석보상절(釋譜詳節)이다. 세종이 이를 다시 찬불가로 만든 것이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8.02
스님의 봉변/ 성현의 <용재총화>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성현(成俔)은 연산군 때 학자요, 시인이요, 음악이론가다. 유자광(柳子光)과 함께 음악의 집대성인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했으며, 예조, 공조판서, 대제학을 지냈다. <용재총화>는 역사·지리·종교·학문·음악·서화(書畵)·유..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7.31
만복사 저포기/ 김시습의 <금오신화> 만복사(萬福寺) 저포기(樗蒲記)/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는 <금오신화(金鰲神話)>를 꼽는다. <금오신화>는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나이 31세부터 37세까지 7년간 경주 남산 금오산에 은거할 때 쓴 한문체 전기(傳奇)소설이다. 소개하는 <만복..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7.30
닭 중의 봉/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닭 중의 봉 /이규보(李圭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지금 강화읍에서 전등사 가는 길 길상면 목비(木碑)고개에는, 고려의 문장가 백운산인(白雲山人) 이규보의 묘가 있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1168년부터 1241년. 서양은 십자군이 성지 예루살렘을 회복하기 위하여 갑옷을 입고 유럽.. 책 한 권에 소개한 동양고전 50 201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