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애심과 송민도
요즘 우리나라 젊은 가수들이 노인들을 놀래게 한다. 한류니 뭐니 하면서, 세계를 누빈다. 월요일 밤 KBS 가요무대만 즐기는 나로서는 젊은이들 노래가 어느 수준인진 잘 모른다. 하여간 그들이 세계의 주목을 받아 흐믓하다. <K-POP>이니, <소녀시대>니, <비>니 하는 가수들이 중국을 위시한 동남아 베트남 태국 일본에선 스타인 모양이다. 동양뿐만 아니라 프랑스 영국 등 구라파, 미국과 브라질같은 남북 아메리카 대륙도 휩쓴다고 한다. 뉴스를 보니, 파리나 런던 뉴욕 공항에 그들이 나타나면 그곳 청춘남녀들이 꺅꺅 기성을 지르면서 숨 넘어가는듯 아우성 친다. 이를 통한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얼마나 올라가는지는 불언가지(不言可知)다. 40 여년전 클립리쳐드 내한공연 때 일 생각난다. 지금은 할머니가 된 아가씨들이 팬티나 브라지어까지 챙피한줄 모르고 벗어 던지고 야단법석을 떨었다. 최근엔 싸이가 <강남스타일>이란 풀래시 한방으로 세계적인 홈런을 쳤다. 흉내 귀신인 일본에선 짝퉁 한류까지 생겼다고 한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언제부터 이런 놀라운 끼를 숨기고 있었을까.
이쯤에서 우리 가요사 족보를 한번 뒤적거려볼 필요가 생긴다. 세계가 우리 음악에 놀라는데, 우리만 서산 마애불처럼 입을 꾹 다물고 있을 수는 없잖은가. 프랑스에 샹숑이 있고, 이태리에 칸쇼네가 있디. 라틴 아메리카에 탱고가 있고, 우리나라엔 트롯트가 있다. 미국엔 엘비스프레슬리가 있고, 프랑스엔 이브몽탕이 있다. 우리나라엔 윤심덕 이애리수 이난영 남인수 나애심 송민도가 있다. 한류는 어디서 갑자기 튀어나온 것은 아닐터 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가 양은 주전자 놓고 막걸리 따르며 듣던, 이들 한류의 원류를 만날 수 있다. 뿌리 없는 나무가 어디 있겠는가.
나는 고향이 진주이다. '가요계의 황제' 남인수 노래를 좋아한다. 그의 <애수의 소야곡> <추억의 소야곡>은 내 비장의 십팔번이다.